『Goindol』 - Sebastian Schutyser

goindol_img_01

책소개

여는 글

벨기에 사진작가가 바라본 한국의 고인돌

글: 지은경(Chaeg 편집장)

세계 자연 환경과 인류 문화 유산에 관한 사진을 찍는 벨기에의 사진작가 세바스티안 슈티제 Sebastian Schutyser 는 한국의 고인돌을 6 년간 찾아다니며 사진촬영을 했다. 2016 년 12 월 초에 발행되는 그의 사진집 고인돌 Goindol 은 지난 6 년간의 사진 촬영의 기록이다. 국내 아트 크라우드 펀딩 업체인 텀블벅에서 기금을 모으고 책 전문 매거진 『책,Chaeg』에서 발행한 사진집 『고인돌』은 2010 년부터 2015 년에 걸쳐 매 해 여름마다 고인돌 밀집 지역인 경기도와 전라도, 그리고 경상도 등을 다니며 촬영하여 모은 40 장의 사진들과 작가 노트, 그 외에도 사진작가 배병우와 동북아지석묘 연구소장인 이영문의 추천 글이 함께 실렸다.

전세계 고인돌의 40% 이상이 한반도에 밀집해 있다. 그리고 아직도 고인돌의 발굴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인류 최초의 건축이자 아직도 많은 미스터리를 담고있는 고인돌은 갖가지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지니고 있다. 고인돌은 농경사회였고 해안가나 강가에 밀집했던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현재 발견된 고인돌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기원전과 구석기 시대의 것들로 북유럽과 서유럽의 해안가와 강가, 북아프리카의 해안가로부터 인도와 인도네시아로 이어지며 신석기 시대의 종착역은 한반도다. 한국 고인돌 밑에서 발견된 2 구의 유골이 모두 인도와 유럽인의 두개골이라 추정되며 한국과 인도의 농경 언어 400 여개가 동일하다. 즉 한반도는 조선시대와는 달리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때 매우 활발한 무역이 이루어지던 국제적인 장소였다는 것이 여기서 유추된다.

세계의 고고학자들은 인류 최초의 건축인 고인돌 연구의 가장 중요한 나라로 대한민국을 거론한다. 또한 북방계와 남방계로 나뉘는 다양한 형태의 미를 탐구하는 작업, 선사시대의 생활상을 고인돌을 통해 연구하는 작업들도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고려문화재단과 동북아지석묘 재단, 그리고 대학의 고고학과 등에서 고인돌을 연구하지만 몇 천년 전에 세워진 고인돌의 아름다움과 축조방식 등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그리고 한국이 전 세계 40%이상의 고인돌을 가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고인돌을 보존하려는 정부의 노력과 대중의 관심은 아직도 미비하기만 하다.

인류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을 촬영하는 벨기에의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세바스티안 슈티제는 2010 년에서 2015 년에 걸쳐 한국의 곳곳을 다니며 숨어있는 고인돌들을 핀홀카메라로 촬영했다. 이 사진들은 그저 역사적 자료를 위한 사진이 아닌 오랜 시간과 비바람을 견디며 계속 같은자리를 지켜온 고인돌을 예술적인 작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사진들이다. 그의 사진 속 고인돌을 둘러싼 나무들은 바람이나 비로 인해 흔들리고 있지만 고인돌은 고정된 채 한 자리에 머문다. 사진작가 세바스티안 슈티제의 사진과 전문가들의 텍스트로 만들어낸 사진집은 예술적 가치 뿐 아니라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갖게 할 것이며 이로 세계인들의 관심을 우리의 자연과 역사에 머물게 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노트

고인돌 : 사진으로의 탐험(2010-2015)

글: 세바스티안 슈티제 Sebastian Schutyser

신성한 건축과 자연 사이의 관계는 인간이 환경을 일구기 시작한 이래 환경과 맺게 된 정신적 관계를 상징한다. 나는 자연과 문화가 긴밀하게 상호하고 그것이 느껴지는 장소에 관심이 많다. 수년간 자전거와 배에 몸을 싣고 니제르의 삼각주를 탐험하며 말리의 흙집 사원을 촬영했고, 스페인 북부에서 일곱 번의 겨울을 보내며 중세의 암자들을 찾아다녔다. 이들은 수백 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잃지 않았고, 자연과의 최상의 조합을 보여주는 건축물이었다. 고인돌도 그랬다. 풍부한 문화적 가치에 비해 과소평가된 한국의 문화유산 고인돌, 나는 기꺼이 그것들을 찾아 새롭고 매력적인 모험에 착수했다.

서울의 광란을 뒤로하고, 나는 동북아지석묘연구소(전남 화순 소재)의 안내에 따라 새로운 세계로 발을 들였다. 그곳은 여름장마가 한창이었고, 선사시대 유적지의 초목은 밝은 초록빛을 띠며 무성하게 자라 있었다. 고인돌은 돌로 이루어진 조각과 건축의 융합물이라는 설명이 가장 잘 어울린다. 무엇보다 고인돌의 가장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떻게 상호하는지일 것이다. 사실상 이 고인돌은 문명 초기의 대지미술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기념비적 건축물은 그 자체만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만, 그 못지않게 고인돌이 자리해있는 장소의 혼(genius loci)도 중요하다. 과연 이곳은 탐욕에 의해 관광명소로 둔갑한, 단순히 과거의 무덤일 뿐일까? 조금 동떨어진 이야기로 들릴 수 있겠지만, 물질이 인간의 모든 욕망을 충족시켜주지는 못한다. 스마트워치가 건강에 대한 우리의 집착을 상징하기에 이르렀지만, 우리는 점점 질병과 부패 앞에서 나약해져 간다. 이는 죽음이라는 명제마저 소비제일주의적 삶의 관점에서 정의하고자 하는 우리의 모습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과학기술만으로는 위안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과연 인간에게 위안이란 무엇일까? 어쩌면 과학기술이 아닌 이 과거의 무덤이, 그 신성함과 고귀함이, 우리가 갈망하는 위안을,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지는않을까?

내 사진 속의 고인돌은 몰아치는 바람과 무성한 초목 가운데 서 있다. 고인돌은 비에 젖은 채 빛을 머금고 있다. 그것은 여전히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영적인 것이다. 자연 풍경의 극적인 변화와 전례 없는 환경 파괴가 자행되고 있는 현재, 이 사진들은 과거를 붙잡으려는 시도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잠시 멈춰 서서 과거를 돌아보면 좀 어떤가? 거기서 인간과 자연, 환경, 풍경 사이의, 그리고 종국에는 바로 우리 자신과의 좀 더 균형 잡힌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슬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세바스티안 슈티제 Sebastian Schutyser

벨기에 출신의 사진작가 세바스티안 슈티제는 1968 년 브뤼헤에서 태어나 콩고에서 자랐다. 겐트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겐트 왕립 미술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애초부터 아프리카는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그는 말리의 흙집 사원을 촬영한 다큐멘터리 사진 작업으로 아가 칸 문화 재단 The Aga Khan Trust for Culture 의 후원을 받았다. 해당 프로젝트의 전 작품은 『Banco』라는 이름의 책으로 2003 년에 출판됐다. 더불어 아가 칸 문화 재단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Archnet’에 작품이 수록됐다.
20004 년과 2005 년, 두 번에 걸쳐 콩고와 우간다의 르웬조리 산맥을 탐험했다. 아프리카 대탐험에 관련한 신화와 화려한 자연경관에서 얻은 영감으로 르웬조리 산맥의 자연을 작업에 담았다. 전설 속 ‘달의 산맥’을 촬영한 작업은 지고한 실낙원을 떠올리게 한다.
이 작업은 『Flowers of the Moon』이라는 이름으로 2007 년 책으로 출판됐다. 이후 그는 신성 건축과 그것이 속한 자연환경 간의 조화와 관계에 매료되어 로마네스크 양식의 에르미타를 찾아 스페인 북부로 떠났다. ‘에르미타’ 프로젝트는 대형의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해 잊힌 문화유산을 기록한 것으로서 ‘슬로 포토그래피’에 대한 작가의 철학을 드러낸다. 이 작품들은 최근 스페인 라파브리카 La Fabrica 의 예술잡지 『Matador』에 소개됐다.
그의 작품은 누데리흐트 Noorderlicht 사진 페스티벌, 파리의 메종 유러피안 드 라 포토그라피 Maison Européenne de la Photographie, 프랑크푸르트의 독일 건축 박물관, 바마코 아프리카 사진과의 만남 Rencontres de la Photographie Africaine de Bamako, 제네 Djenné 대사원, 브뤼셀 아트센터 보자르 BOZAR, 앤트워프 사진박물관과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그리고 갤러리 선컨템포러리에서 전시되었다. 2005 년부터 세바스티안 슈티제는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 키르키즈스탄, 아제르바이젠 등을 아우르는 중앙 아시아 음악인 후원 단체인 아가 칸 문화재단의 전속 사진작가로 일하고 있다. 2009 년에는 겐트 왕립 미술학교에서 초청 강사로, 2012 년부터 2013 년에는 서울예술대학교에서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작품 미리보기

책Chaeg 단행본

책 Chaeg Special #1

젠더 Gender

Attitude : Attitude is Everything

애티튜드

『Goindol』 - Sebastian Schutyser

벨기에 사진작가가 바라본 한국의 고인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