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 인터뷰

세상의 시선을 넘어선 ‘거인’
스테판 아우스 뎀 지펜

에디터: 유대란 사진 Susanne Schleyer

마흔 살이 넘어 본격적으로 소설을 쓰기 시작한 작가 스테판 아우스 뎀 지펜은 “타협하지 않는 진지한 문학 작가” “독일 소설가 중 맨 앞줄에 속한 작가”라는 수식어의 주인공이다. 그는 고전적 문체와 표현력으로 유럽에서 주목받고 있다. 『밧줄』에 이어 한국에서 두 번째 출간된 소설 『거인』은 그가 2014년 독일에서 발표한 작품으로, 열아홉 살 생일에 키가 239cm를 넘은 후 세상에서 제일 큰 ‘거인’이 되어버린 한 청년의 일생을 그린다. 세상과 맞물려 살아보려던 주인공 틸만은 비정상적인 외형으로 좌절과 고통을 겪지만, 곧 자신을 받아들이고 인격과 교양을 쌓는 데 힘쓴다. 자신의 기형적인 몸에 좌절할수록 내면에 집중해야 했던 거인의 이야기를 전지적 시점으로 묘사한 이 소설은 타인에 대한 비정상적 시선에 관한 현대적 우화이기도 하고, 아픔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 자에 관한 성장소설로 읽히기도 한다. 작가의 또 다른 직업은 외교관으로, 그는 현재 베를린의 독일 외교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Chaeg: 『거인』은 “낙인 찍히지 않은 자들을 경계하라”는 리히텐베르크의 문구로 장을 엽니다. 조사를 해봤는데 리히텐베르크에 관한 자료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리히텐베르크는 어떤 사람이고 왜 이 구절을 선택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리히텐베르크는 18세기 독일의 작가였는데, 위트 있고 역설적인 문구를 잘 쓰는 거로 유명한 사람이었어요. “낙인 찍힌 자들을 경계하라”는 평범하고 지루한 문장인데 리히텐베르크는 그것을 뒤집었죠. “낙인 찍히지 않은 자들을 경계하라.” 상식이 뒤집힌 것 같은 이 문구는 제 소설과 연관이 많습니다. 주인공 틸만은 비록 거인이라는 오명을 달고 살지만, 이야기 속에서 가장 호감이 가는 인물입니다.

Chaeg: 서문에서 “신체적 고통을 행운으로 받아들이게 된 한 사람을 탐구해보고 싶다, 사람들의 부당한 시선과 요구에 굴복하지 않고 정신적으로 세상의 시선을 넘어서는 그들의 노력을 밝혀보자고 한다”고 쓰셨어요. 신체적 고통을 지닌 주인공 틸만을 모든 아웃사이더를 대변하는 인물로 봐도 무방할까요?
아웃사이더의 이야기를 쓰고자 한 건 아니었어요. 그건 너무 단순한 이야기가 될 테니까요. 이 이야기는 패배자를 가장한 승자의 이야기로 보면 더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이 승자는 특출난 인격을 갖췄죠. 아웃사이더에 대한 견해를 이야기하자면, ‘아웃사이더는 다수와 다르다’가 대다수의 전형적인 시선이겠지만, ‘대다수는 아웃사이더의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가 제 생각입니다.
기네스북 같은 데서 보기 드물게 키가 큰 사람들의 사진을 본 적이 있는데, 그들의 얼굴에 드러난 표정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건 부끄러움과 의심이 섞여 있으면서, 한편 어떤 금욕주의적인 느낌과 차분함, 그리고 우월감 같은 것도 보이는 그런 표정이었습니다. 저는 그들에게서 어떻게 이런 표정이 나오는지, 특히 그 ‘우월감’의 근원이 무엇인지 궁금했고, 『거인』을 쓰면서 답을 구해보고자 했습니다.

Chaeg: 이야기 초반에는 틸만이 겪는 과도한 관심과 부당한 대우가 잔인하게 그려지는데, 틸만은 결국 그런 현실과 사람들에게 손을 내밉니다. 그에게는 구원자 같은 면모도 있는데, 틸만을 어떤 인물로 그리고자 하셨는지요?
틸만은 복잡한 인물이에요. 그는 여러 모순되는 특성을 내재한 사람입니다. 그에게는 분명 고결한 면이 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다소 비열하게 타협하기도 하고, 한 번 이상은 자신이 경멸하던 것에 의한 혜택을 누리기도 하죠. 저는 좋은 문학이란 항상 인간의 다면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밝아 보이는 것에도 어두운 면이 있고, 또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맥베스는 권력에 대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윤리를 저버리는 흉포한 살인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셰익스피어는 독자로 하여금 연민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인물로 묘사했잖아요.

Chaeg: 소설가로 살아오시면서 가장 좋았던 일은 무엇인지요? 후회하신 적도 있는지요?
도저히 쓸 수 없다고 생각했던 소설이 있습니다. 그런 소설을 쓰겠답시고 공부도 하고, 팔자에도 없는 여행도 하지만, 막상 책상에 앉으면 한 줄도 쓸 수 없습니다. 이대로 소설가 인생을 포기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순간도 지나고 아무런 희망도 없이 그저 내가 쓸 수 있는 만큼만 쓰자고 마음먹고는 써내려가다가 드디어 다 썼다고 생각하는 새벽이 찾아옵니다. 그때가 소설가로서 가장 좋은 순간이지만, 그 가장 좋은 순간은 아직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다 쓴 소설을 프린트한 뒤에 책상에 올려놓고 냉장고에서 차가운 맥주를 꺼내 마십니다. 단숨에 한 캔을 다 마시고 나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만족감이 몰려드는데, 그때가 가장 좋은 순간입니다. 후회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되고 싶어서 소설가가 된 게 아니라서 앞으로도 후회는 못할 것 같습니다.

Chaeg: 틸만은 현실을 비판하기보다 끌어안는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틸만이 끌어안는 현실과 세상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 질문에는 직접적인 대답을 드리기보다 틸만의 뒤에 숨는 편이 나을 것 같네요. 틸만이 삶에서 경험하는 아름다움과 추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야기 속에 조심스럽게 표현했고, 이야기 속 연약한 평형상태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여기까지 이야기하는 게 좋을 듯합니다.

0010_interview_book_02
Please subscribe f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