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 인터뷰

기발하고 날카로워질 때까지,
소설가 김연수

에디터: 유대란, 사진: 문학동네 제공

지적 소설의 한 장을 열었다는 평에서부터 ‘우리 시대의 가장 지성적인 작가’라는 수식어가 붙는 김연수 작가의 첫 소설집 『스무 살』이 15년 만에 다시 출간되었다. 수록된 총 9편의 단편은 현실에 밀착한 이야기를 서정적인 문체로 풀어놓는가 하면 이를 뒤엎듯 환상과 긴장감으로 채워진 세계를 펼치며 다양한 기법을 실험했던 20여 년 전 작가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확신과 불안 사이에서 소설세계를 끊임없이 갱신하며 글쓰기로 자신을 증명해온 현재의 작가를 예감하게 하는 것이었다. 일본에 머물며 집필 중인 작가에게 근황을 물었다.

Chaeg: 『스무 살』 『사랑이라니 선영아』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이 재출간되었습니다. 그중 작가님의 첫 소설집 『스무 살』은 많은 독자들이 재출간되기를 손꼽아 기다렸고, 출판사에 문의도 많았다고 하던데요. 소감이 어떠신지요?
별 소감은 없습니다. 이른 나이에 얼떨결에 등단했고, 문학에는 끌리면서도 직접 작품을 쓰는 일은 아직 두려워하던 시기에 몇 편의 단편소설를 썼는데, 그게 바로 『스무 살』에 실린 작품들입니다. 소설들을 묶어 출판사에 보낼 때만 해도 이 책이 저의 마지막 책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독자들이 이 책의 재출간을 기다린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그래 봐야 많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번에 다시 펴내면서 소설들을 훑어보니 지금도 남아 있는 제 모습도 있고, 이제는 찾을 수 없는 제 모습도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그 정도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요?

Chaeg: 『스무 살』에 새로 수록된 두 편의 단편소설 ‘사랑이여, 영원하라!’와 미발표작 ‘두려움의 기원’은 언제 완성하신 건지요?
‘사랑이여, 영원하라’는 1995년쯤 써서 잡지에 발표한 것이고요, ‘두려움의 기원’은 아마도 1997년쯤 썼는데,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아직까지 소설에 대해서 배우던 시절이라 마음에 들지 않아 작품집에는 묶지 않은 작품들이 좀 있습니다.

Chaeg: 소설가로 살아오시면서 가장 좋았던 일은 무엇인지요? 후회하신 적도 있는지요?
도저히 쓸 수 없다고 생각했던 소설이 있습니다. 그런 소설을 쓰겠답시고 공부도 하고, 팔자에도 없는 여행도 하지만, 막상 책상에 앉으면 한 줄도 쓸 수 없습니다. 이대로 소설가 인생을 포기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순간도 지나고 아무런 희망도 없이 그저 내가 쓸 수 있는 만큼만 쓰자고 마음먹고는 써내려가다가 드디어 다 썼다고 생각하는 새벽이 찾아옵니다. 그때가 소설가로서 가장 좋은 순간이지만, 그 가장 좋은 순간은 아직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다 쓴 소설을 프린트한 뒤에 책상에 올려놓고 냉장고에서 차가운 맥주를 꺼내 마십니다. 단숨에 한 캔을 다 마시고 나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만족감이 몰려드는데, 그때가 가장 좋은 순간입니다. 후회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되고 싶어서 소설가가 된 게 아니라서 앞으로도 후회는 못할 것 같습니다.

Chaeg: 인터뷰 전에 작가님의 팬들에게 어떤 것이 궁금한지 물었는데 일과를 궁금해하더라고요. 일과가 어떻고 글은 언제 어디서 쓰시는지요?
일과는 들쑥날쑥입니다. 궁금하신 마음은 알겠지만, 그때그때마다 일과가 달라지니 말한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싶기도 합니다. 소설을 쓰는 단계마다 일과가 다릅니다. 소설을 준비할 때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납니다. 하지만 소설을 쓰기 시작하면, 소설이 잘 써지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서 잠자는 시간이 달라집니다. 대개는 잘 써지지 않기 때문에 늦게까지 깨어 있습니다. 길게 보면 완성된 문장은 심야와 새벽에 많이 나옵니다. 물론 낮에도 뭘 쓰긴 합니다만, 그건 마중물과 같은 문장들입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글은 제 작업실에서만 씁니다.

012_interview_book_02

Please subscribe for more.